KT aivle school 6차 미니프로젝트
가상 제안사의 컨설턴트가 되어 고객의 제안 서비스의 솔루션을 구성하고 인프라를 설계하는 미니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3일동안 진행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첫째날, 서비스 구성도 작성
둘째날, 시스템 배치도 작성
셋째날, 인프라 구성도 작성
서비스구성도란?
고객의 어떤 특정한 DX 상황에 대한 해결책(솔루션)을 구성하는 IT기술,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기능과 역할로 간략하게 도식화하여 표현한 자료
제안요청서(RFP)
발주자가 특정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 함으로써 제안자가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문서
->제안요청서를 통해 고객의 세부 요구사항을 파악할수있다.
먼저 제안요청서를 보고 기술요구사항을 작성하였습니다.
그러기위해 KT에서 현재 제공하는 기술들을 알아야하는데 그부분이 처음에 어려웠고,
역시 대한민국 1등 기업답게 제공 솔루션들이 굉장히 많고 기술적으로도 우수하다는것을 알수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제안사 솔루션을 검토 단계를 거쳐
다음과 같이 저희 조만의 서비스구성도가 완성되었습니다.!!
그다음으로 서비스구성도를 바탕으로 '시스템 배치도'를 제작해봤습니다.
시스템 배치도
고객의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 서비스를 기능으로 나누고 기능별 Tier 그룹이나 동일 구성 별로 분리하여 나타낸 그림입니다. 정해진 형식은 없으며, 인프라 설계를 위한 개략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와같이 서비스구성도를 바탕으로 시스템구성도로 재구성하였고
인프라별 Tier 그룹을 생성하여
다음과 같은 서비스 배치도를 완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기획했던 서비스 배치도를 토대로 인프라 구성도를 작성해봤습니다.
처음 배우는 내용이라 이론수업때 어려웠고 머리에 제대로 안들어왔지만
프로젝트를 진행을 통해 이론에서 배웠던 내용을 적용시켜볼수있었고,
같은 조 분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서 보다 수월하게 6차 미니프로젝트를 마칠수있었습니다.